CI/CD 공부를 하면서 Azure는 공식문서가 잘되어있지만, 블로그 포스팅은 많이 없어서 남겨보려고 한다.
Azure의 공식 실습문서를 따라하는 과정을 담은 포스트이다.
자습서 - Jenkins를 사용하여 GitHub에서 Azure Kubernetes Service로 배포
GitHub 및 CD(지속적인 배포)에서 AKS(Azure Kubernetes Service)까지의 CI(연속 통합)를 위해 Jenkins를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.
docs.microsoft.com
실습에서 사용하는 Azure나 Gitlab은 회원가입이 필요한데, 이러한 과정은 따로 포스팅 되어있는 글들이 많으니 회원가입이 다 되어있다고 간단한 사용법은 알고 있다는 전제로 글을 작성할 예정이다.
단, 이 문서는 Github을 기준으로 설명하는데 나는 Gitlab을 사용한다. Gitlab과 Github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니 진행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다.
기술스택
아래의 기술, 서비스를 사용하여 진행하는 실습이고 각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사용법은 알고있어야 한다.
- Azure
- Azure VM
- Azure Container Registry
- Azure Kubernetes Service
- Git
- GitLab
- Jenkins
- Docker
- Kubernetes
사용할 프로젝트는 단순한 투표 어플리케이션이다. 이 프로젝트는 따로 만들 필요가 없으며, 깃헙의 프로젝트를 clone 해와서 사용할 것이다.
'DevOps > CIC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enkins Plugins 최신으로 업데이트 하기(ex, Token Macro Plugin) (0) | 2021.05.24 |
---|---|
Jenkins를 사용하여 GitHub에서 Azure Kubernetes Service로 배포(2) - Jenkins와 GitLab 연동 (0) | 2021.01.15 |
Jenkins 오류 해결 - '역방향 프록시 설정이 잘못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' (with nginx reverse proxy) (0) | 2021.01.15 |
GitLab Server SSL 적용 (매우 쉬움) (3) | 2021.01.14 |